- 희망자 절반은 구체 계획 없어…현지 농업인 부정적 인식도 걸림돌
도시 거주지 10명 중 3명꼴로 은퇴 후 귀농·귀촌을 희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.
다만 이들 희망자 중 절반은 구체적 계획이 없고, '위화감을 조성한다' 등 현지 주민들의 부정적 시선도 있어 실제 귀농·귀촌으로 이어지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.
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11~12월 농업인 1천259명과 도시민 1천500명 등을 대상으로 '농업·농촌에 대한 2018년 국민의식 조사'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도시민의 31.3%는 은퇴 후 귀농·귀촌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, 51.6%는 없다고 답했다.
연령별로는 50대의 42%가 귀농·귀촌 의향이 있다고 말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이어 40대가 36.9%, 60세 이상이 34.3%, 30대 이하가 20.4% 등 순이었다.
그러나 귀농·귀촌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에게 구체적 시기를 물은 결과, 구체적 계획이 없다는 답이 50.2%로 절반을 넘었다. '10년 이후'라는 답은 22.1%, '10년 내'는 15.5%, '5년 내'는 8.1%, '3년 내'는 4%의 분포를 보였다.
최근 귀농·귀촌 인구 증가에 대해서는 도시민의 71%가, 농업인의 42.8%가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답해 도시민의 긍정 평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농업인이 귀농·귀촌을 긍정 평가하는 이유로는 '농어촌 마을의 인구와 활력 유지'라는 답이 55.4%로 가장 많았다. 그러나 부정 평가 이유로 '자기주장을 너무 내세워 기존 주민과 갈등을 일으킨다'는 답이 26.5%에 달해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혔다.
부정 평가 이유로는 이 외에도 '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위화감을 조성한다'(21.6%), '귀농·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'(21.3%)라는 의견도 있었다.
귀농·귀촌 확대를 위해 필요한 대책으로는 도시민의 경우 '정부의 지원정책과 프로그램'(30.1%)이, 농업인의 경우 '도시민의 농업·농촌에 대한 인식 전환'(43.7%)이 최우선으로 꼽혔다.
정부의 귀농·귀촌인 지원 확대책을 두고는 도시민의 60.6%가 찬성한다고 했으나 농업인은 43.6%만 찬성한다고 해 농업인의 부정적 인식이 상대적으로 컸다.
한편 농업과 농촌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농업인(94%)과 도시민(85%) 모두 공감대가 넓었다.
농업·농촌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는 '안정적 식량 공급'이라는 응답률이 농업인의 73.1%, 도시민의 81.5%를 차지했다.
현 정부의 농업·농촌 정책 만족도 조사 결과 농업인의 45%가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이었으나, 지난해 농정 성과 중에서는 '쌀값 회복'에 대한 공감도가 72.2%에 달해 가장 높았다.
청년, 귀농·귀촌을 그리다27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'2018 귀농·귀촌 청년창업 박람회' 경기도 홍보관에서 참관객이 다양한 모종을 살펴보고 있다. 연합뉴스와 농협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박람회는 오는 29일까지 열린다. |
김광호 pointan2003@naver.com